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17.09.15 |
---|---|---|---|
제목 | 2017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인허가제도 실무교육 초대의 말씀 | 조회수 | 47,292 |
안녕하십니까? 중앙대학교 제약산업특성화대학원에서는 글로벌 환경에서 의약품 인허가제도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해외에서 현장전문가를 초청해 실무교육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글로벌 환경에서 제약산업의 전문가로서 가져야 할 자질과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이미 체계적으로 완성되어 있는 선진국의 교육시스템에서 관련 지식을 습득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글로벌 의약품 인허가제도에 대해 선진국에서 실제로 이루어지는 강좌를 우리에게 필요한 내용을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편성하였습니다. 바이오의약품은 유전자 치료 및 세포 치료제의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전세계 제약산업에서 중대한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바이오의약품은 불안정성 등 개발 과정에서 늘 도전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최근 바이오의약품 개발사업이 빠르게 글로벌화되면서 이를 뒷받침하는 글로벌 스탠다드 CMC(Chemistry, Manufacturing, Control)의 운영에 대한 인식 또한 높아지고 있습니다. 강연자인 John Geigert 박사는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CMC 분야에서 4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지고 있는 현장경험이 풍부한 교육 전문가입니다. 이번 교육에서는 초기 임상시험 개발부터 시장 승인까지의 단계에서 비용효과적이고 위해성에 기반한 CMC 인허가 전략을 소개합니다. 또한 FDA, EMA, 그리고 ICH 가이드라인에 대해서도 설명할 예정입니다. 이번 실무교육은 2015년의 ‘글로벌 마케팅 실무교육’, 2016년의 ‘글로벌 의약품 인허가제도 실무교육’, 2017년 상반기의 ‘글로벌 경제성평가 실무교육’에 이어 개설되는 글로벌 교육과정으로서, 글로벌 시장 진출을 꾀하는 제약회사의 수요에 발맞춰 실제 적용가능하고 질 높은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향후 제약산업특성화대학원의 대표적인 공개 교육과정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2017. 9. 중앙대학교 제약산업특성화대학원 학과장 서동철 |
첨부파일 |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
---|
목록 |
이전글 | 2017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인허가제도 실무교육 소개 |
---|---|
다음글 | 2017 글로벌 경제성평가 실무교육 교육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