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 | 시간 | 강의주제 | 06/23 (금) | 09:00-10:30 | section 1 : Why cost-effectiveness analysis? 왜 비용 효과 분석을 하는가? In the first segment, we will review everything that you have learned about economic analysis. We will discuss the differences between cost-effectiveness analysis and cost-benefit analysis. We will also review how the different types of economic analyses are used in different countries. 첫번째 부분에서는 경제성 분석에 대해 배웠던 모든 것을 검토한다. 비용 효과 분석과 비용 편익 분석의 차이에 대해 논의하고, 다양한 국가에서 다양한 형식의 경제 분석이 어떻게 사용되는지도 검토한다. <세부내용> 비용효과 분석의 필요성의 대한 소개와 이 분석에 필요한 요소들을 실제 예를 기반으로 정리함. 연구관점에 따라 경제성 평가가 이루어지는 방향을 설명하였으며 그에 따른 비용포함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설명됨. | 10:30-10:50 | Break | 10:50-12:00 | section 2 : How to put a cost-effectiveness research project together 비용 효과 연구 프로젝트의 중요한요소들을 이용하여 경제성평가를 실시하는 방법 In this segment, we will discuss how to plan a research project, where to find data, how to organize your work, and the importance of anticipating where you will publish your work. 연구 프로젝트를 어떻게 계획할지, 데이터를 어디서 찾을지, 연구를 어떻게 구성할지와 결과물을 어디에 게재할지 예측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한다.
<세부내용> 경제성 평가에 쓰이는 비용에 대한 심층적인 토론이 진행됨. 비용 조사 방법들이 소개 되었으며 약과 병원에서 초래하는 비용이 어떻게 합산되는지 설명됨. 추가적으로 인플레이션과 할인율 채택과정과 이를 적용한 비용계산에 대한 토론이 진행됨. | 12:00-13:00 | Lunch | 13:00-14:30 | section 3 : Calculating costs, life expectancy, and quality-adjusted life years. 비용, 기대 수명, 질보정 기대수명(QALY)의 계산방법 In this section, we will discuss how to all of the core parts of a cost-effectiveness analysis are calculated, and how they all come together. 비용 효과 분석의 모든 핵심 부분들 (비용, 기대수명 계산, 질보정 기대수명 등)이 어떻게 도출되고 어떻게 이러한 값들이 결합되어 사용되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세부내용> 결정분석에서 사용되는 확률의 중요성에 대해 토론하였으며 Treeage 프로그램 및 엑셀을 통한 비용과 결과 계산방법을 소개함. 모형구축의 원리 설명과 필요한 변수들의 대한 심층적인 토론이 진행됨. | 14:30-14:50 | Break | 14:00-17:00 | section 4 : Markov models, a worked example. 마르코프 모델 적용해보기 In this segment, we will actually run through a worked example in class, building a Markov model piece by piece. By the end of the class, you should have an idea how to conduct a cost-effectiveness analysis from start to finish! 수업시간에 상의한 마르코프 모델의 예를 이용하여 경제성평가를 차근차근 실습해본다. 수업이 끝날 때 비용 효과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을 처음부터 끝까지 알수 있게 된다.
<세부내용>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해 간략하게 검토하고 질보정 기대수명의 계산방법이 소개됨. 이 계산된 수치들을 구축된 모형에 적용하는 방법들을 논의함. 실제 엑셀에서 구축된 모형의 원리에 따라 데이터 입력하는 방법들을 실습하여 비용 효과분석 수행방법을 처음부터 끝까지 진행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