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16.10.20 |
---|---|---|---|
제목 | 2016 글로벌 인허가제도 1차 실무교육 - 3일차 발표내용 | 조회수 | 57,328 |
Day 3
세션 12: 신청의 종류 (Types of Application) Classical NDA, Variation NDA, ANDA & DMF, Classic BLA, Biosimilar와 같은 신청의 종류 및 독점권의 종류에 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NDA 개요 및 신청 절차에 관한 안내를 살펴본 후 NDA과 BLA (Biologic license applications)에 관하여 알아본 후 독점권과 특허권 보호에 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세션 13: 제네릭허가신청자비용부담금법 하에서의 요건(Requirements under GDUFA (ANDAs and DMFs)) 제네릭 허가 신청자 비용부담금 법 하에서의 조건을 살펴보았습니다. 신청자 비용 부담금, ANDA 평가, DMF 완료 평가와 인허 침해와 해결 방책에 관해 알아보았습니다. 세션 14: 바이오의약품허가신청자비용부담금法 하에서의 요건(Requirements under BSUFA (Biosimilars)) 바이오의약품허가신청자비용부담금 법 하에서 신청자 비용, 기술 요건, 상호교환성 및 관련 규제사항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세션 15: 전문의약품허가신청자비용부담 法 하에서의 신약허가신청 /바이오의약품허가신청 신약허가신청과 관련하여 신청자 비용부담금, FDA의 신청서 검토, PDUFA V하의 프로그램과 신청서에 관하여 FDA의 행동 절차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세션 16: 인허가 후 업무 (Post approval activities) 인허가 후 업무 관련 활동에 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인허가 후, 연간 보고서, 인허가 후 CMC 변화와 labeling 변화 그리고 광고 및 홍보에 관하여 절차와 사례를 살펴보며 이해를 높이는 세션이었습니다. 세션 17: 규정 준수와 점검 (Compliance and Inspections) 규정 준수 사항과, 감시, 그리고 승인에 관한 세션으로, 각 사항에 관한 절차와 종류, 유의사항 및 조건에 관해 알아보았습니다. 예를 들어 FDA 감시 기관의 종류를 살펴봄으로써 각 해당 기관의 역할과 요건 사항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습니다. 세션 18: 글로벌 개발 (Global Development) 글로벌 의약품 개발에 관한 세션으로, 해외 임상 시험 사례, 지역별 요건의 차이와 에이전시의 차이에 관하여 EU와 아시아의 사례를 들어 설명을 들었습니다. |
첨부파일 |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
---|
목록 |
이전글 | 2016 글로벌 인허가제도 1차 실무교육 - 2일차 발표내용 |
---|---|
다음글 | 2016 글로벌 인허가제도 1차 실무교육 - 1일차 발표내용 |